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81
2581번: 소수
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,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. 단,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가 없을 경우는 첫째 줄에 -1을 출력한다.
www.acmicpc.net
문제
자연수 M과 N이 주어질 때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골라 이들 소수의 합과 최솟값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예를 들어 M=60, N=100인 경우 60이상 100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는 61, 67, 71, 73, 79, 83, 89, 97 총 8개가 있으므로, 이들 소수의 합은 620이고, 최솟값은 61이 된다.
입력
입력의 첫째 줄에 M이, 둘째 줄에 N이 주어진다.
M과 N은 10,000이하의 자연수이며, M은 N보다 작거나 같다.
출력
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,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.
단,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가 없을 경우는 첫째 줄에 -1을 출력한다.
풀이
사용한 변수들
primeNumberList : 소수가 저장될 배열
primeCount : i % j === 0 일 때 증가하는 count
- 반복문으로 M 과 N 사이에 존재하는 자연수 i 를 얻습니다.
- i가 소수인지 확인합니다
- i % j === 0 이면 primeCount를 증가시킵니다.
- 최종적으로 primeCount가 2면 i 는 소수입니다.
- 소수로 판정된 i 는 primeNumberList에 저장됩니다.
- primeNumberList의 값을 모두 더한값과 primeNumberList의 첫번째 값을 출력합니다.
- 만약 primeNumberList의 길이가 0이라면 소수가 없는 경우이므로 -1을 출력합니다.
코드
let input = require("fs").readFileSync("dev/stdin").toString().trim();
let [M, N] = input.split("\n");
M = Number(M);
N = Number(N);
const primeNumberList = [];
for (let i = M; i <= N; i++) {
let primeCount = 0;
for (let j = 1; j <= i; j++) {
i % j === 0 ? primeCount++ : null;
}
primeCount === 2 ? primeNumberList.push(i) : null;
}
const minPrimeNumber = primeNumberList[0];
const sumOfPrimeNumber = primeNumberList.reduce((acc, cur) => acc + cur, 0);
primeNumberList.length !== 0
? console.log(sumOfPrimeNumber + "\n" + minPrimeNumber)
: console.log(-1);
'Programing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/ nodejs] 27323번 : 직사각형 (2) | 2023.12.07 |
---|---|
[백준 / nodejs] 11653번 : 소인수분해 (2) | 2023.12.06 |
[백준 / nodejs] 1978번 : 소수 찾기 (0) | 2023.12.03 |
[백준 / nodejs] 9506번 : 약수들의 합 (0) | 2023.12.03 |
[백준 / nodejs] 2501번 : 약수 구하기 (0) | 2023.11.3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