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5206번: 너의 평점은
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기 위해서는, 전공평점이 3.3 이상이거나 졸업고사를 통과해야 한다. 그런데 아뿔싸, 치훈이는 깜빡하고 졸업고사를 응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! 치
www.acmicpc.net
문제
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기 위해서는, 전공평점이 3.3 이상이거나 졸업고사를 통과해야 한다. 그런데 아뿔싸, 치훈이는 깜빡하고 졸업고사를 응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!
치훈이의 전공평점을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전공평점은 전공과목별 (학점 × 과목평점)의 합을 학점의 총합으로 나눈 값이다.
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등급에 따른 과목평점은 다음 표와 같다.
학점 | 과목평점 |
A+ | 4.5 |
A0 | 4.0 |
B+ | 3.5 |
B0 | 3.0 |
C+ | 2.5 |
C0 | 2.0 |
D+ | 1.5 |
D0 | 1.0 |
F | 0.0 |
P/F 과목의 경우 등급이 P또는 F로 표시되는데, 등급이 P인 과목은 계산에서 제외해야 한다.
과연 치훈이는 무사히 졸업할 수 있을까?
입력
20줄에 걸쳐 치훈이가 수강한 전공과목의 과목명, 학점, 등급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
풀이
이번 문제는 전공평점을 구해야 합니다. 평균을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.
Point
- 전공평점 = ( 과목별점수 + 과목별점수 + ... ) / 학점의 총합
- 과목별점수 = 학점 X 과목평점
- 학점의 총합 = 학점 + 학점 + ...
- toFixed()
- 과목별점수의 총합과 학점의 총합을 구합니다.
- 최종적으로 과목별점수의 총합 / 학점의 총합을 계산합니다.
이때 toFixed(6)을 사용하여 소수점 6자리까지 계산합니다.
코드
let input = require("fs").readFileSync("/dev/stdin").toString().trim().split("\n").map((item) => item.split(" "));
const gradeList = {
"A+": 4.5,
"A0": 4.0,
"B+": 3.5,
"B0": 3.0,
"C+": 2.5,
"C0": 2.0,
"D+": 1.5,
"D0": 1.0,
"F": 0.0,
};
let 과목별점수총합 = 0;
let 학점의총합 = 0;
input.forEach((item, i) => {
const [과목, 학점, 과목평점] = item;
if (과목평점 === "P") return; // P인 경우는 계산하지 않는다.
let 과목별점수 = Number(학점) * Number(gradeList[과목평점.replace("\r", "")]);
과목별점수총합 += 과목별점수;
학점총합 += Number(학점);
});
let result = (과목별점수총합 / 학점총합).toFixed(6);
console.log(result);
'Programing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/ nodejs] 2566번 : 최댓값 (0) | 2023.10.12 |
---|---|
[백준 / nodejs] 2738번 : 행렬 덧셈 (0) | 2023.10.11 |
[백준/node.js] 1316 - 그룹 단어 체커 (0) | 2023.10.04 |
[백준/JS] 2914 - 크로아티아 알파벳 (0) | 2023.09.28 |
[백준/JS] 1157 - 단어공부 (0) | 2023.09.06 |
댓글